안녕하세요. 인테리어 전문 업체 916디자인입니다.
요즘에는 층고가 높은 형태의 사무실이 많아 복층 타입으로 시공하는 사레가 늘고 있는데요. 916 디자인에서도 인천사무실인테리어를 비롯하여 다양한 시공을 작업하고 있습니다.
다만 복층을 활용하더라도 어떤 분위기를 원하느냐에 다라 디자인이 달라질 수 있기에 여러 포트폴리오를 참고하여 공간의 활용성과 취향을 담아 계획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만약 쾌적하고 시원시원한 개방감을 그대로 드러내고 싶다면 이번에 저희가 시공한 인천 마크원 지식산업센터 복층 사무실인테리어의 현장을 함께 살펴보시길 바랍니다.


이번 인천 마크원 지식산업센터 복층 사무실인테리어를 진행할 현장은 따로 철거 작업이 필요하지 않아 바로 시공에 들어갈 수 있었는데요. 복층 구조에 초점을 맞춰 과정을 보여드리겠습니다.



복층에서 가장 중요하게 생각하는 포인트가 바로 튼튼함과 안정성입니다.
하나의 공간에 층을 나누는 작업인 만큼 불안정하게 완성된다면 작업의 효율성을 살릴 수 있죠.
따라서 목재가 아닌 철골 작업으로 프레임을 작업하는 것이 일반적입니다.
또한 용접시 절단면의 깊은 곳까지 용접이 되어야 안심하고 사용할 수 있으므로 세심하게 작업해야 합니다.



916 디자인에서는 정확한 계측을 바탕으로 철제를 재단하고 샌딩도 꼼꼼하게 마무리하여 안전하게 시공하고 있습니다. 계단 또한 하중을 견디기에 적합하도록 디테일까지 완성도 있게 작업하는데요.



기본 뼈대를 완성한 후에는 추가적인 골조 작업을 진행하기도 합니다.
특히 이번 인천사무실인테리어는 복층으로 전체 공간을 쓰는 것이 아닌, 부분 활용이기 때문에 짜임새 있는 구조가 중요했죠.



이후에는 석고보드와 목공 공사를 통해 공간을 만드는 작업을 진행했습니다.
이제 조금씩 형태가 잡혀가는 모습인데요.


마지막까지 수평, 수직을 확인하고 페인트와 도장까지 차근차근 작업하다 보면 어느새 기획했던 모습이 구현됩니다.


이제부터는 완성된 인천 마크원 지식산업센터 복층 사무실인테리어의 모습을 확인해보록 하겠습니다.
먼저 외부 파사드이 모습입니다. 이번에는 심플한 컬러를 위주로 사용했기 때문에 훨씬 화사하고 밝은 느낌을 받을 수 있으며 입구에서부터 미니멀한 분위기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외부와의 차단과 개방감을 다 누일 수 있도록 이중문으로 작업했으며 자동문 상단에는 템바보드를 부착해 허전하지 않도록 완성했습니다.
그리고 회사명과 슬로건도 잘 녹아들 수 있도록 사인물을 구성했죠.
출입문과 외부 파사드에 사용된 간접 조명이 더욱 은은한 느낌을 연출합니다.



내부 공간의 모습입니다.
한눈에 보기에도 복층의 개방감이 그대로 느껴지는 듯한데요. 공간을 다양하게 활용했음에도 전혀 갑갑하지 않고 오히려 시원시원한 분위기로 마무리됐습니다.



특히 계단과 복층 난간, 다른 공간의 월과 도어 모두 투명한 유리로 사용하여 클라이언트의 니즈에 부합하는 공간이 완성되었죠.



그리고 복층 아래의 공간이 답답해 보이거나 어둡지 않도록 매입등으로 깔끔하게 작업했습니다.
또 화이트 컬러의 벽과 잘 어우러지도록 은은한 패턴이 적용된 바닥 마감재를 사용하였습니다.



키친이 마련된 공간을 살펴보겠습니다.
심플하고 세련된 감성을 느낄 수 있는데요. 수납장은 우드, 골드 컬러로 포인트를 주어 편안한 분위기도 연출되었습니다.



싱크대가 자리 잡고 있는 이 공간은 웜톤의 아이보리 컬러로 한층 안락한 느낌의 공간이 완성되었습니다.
여기에 수납공간이 부족하지 않도록 넉넉하게 마련했으며 벽면 선반까지 튼튼하게 작업하였습니다.



계단 뒤쪽에도 별도의 공간이 있습니다.
공간을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수납장을 설치하였고 다른 공간과 비슷하게 전체적으로 깔끔하고 무난한 느낌으로 마무리했습니다.




2층은 LED 일체형과 라인등을 사용하여 더욱 감각적인 모습으로 연출했습니다.
통창의 개방성이 더욱 부각된 모습인데요.
마찬가지로 바닥재나 색감은 1층과 동일하게 시공했습니다.




조명 또한 통일감을 맞췄습니다.
전체적으로 미니멀하고 심플한 디자인이기 때문에 어떤 기구와 집기를 배치하여도 무리 없이 소화할 수 있는 인천 마크원 지식산업센터 복층 사무실인테리어 입니다.
이렇듯 인테리어 자체로 포인트를 주어도 좋지만 가구나 집기의 다양성을 고려하여 공간의 기본 틀은 깔끔하게 작업하는 것도 좋습니다. 전반적인 균형이 잘 맞는다면 좋은 인테리어라고 할 수 있는데요.
저희 916디자인과 함께 그 해답을 찾아보시는 건 어떨까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