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916디자인입니다.
병원이라는 공간을 생각하면, 인테리어가 꼭 필요한지 의아하신 분들도 계실 겁니다. 그냥 깔끔한 이미지만 챙기며 된다는 인식이 조금 있는 것 같은데, 병원도 생각보다 인테리어가 중요한 업종 중에 하나입니다.
게다가 일반적인 인테리어와 달리 전문적인 지식과 기술도 필요하고 여러 부분들을 고려하고 생각해 진행해야 되기 때문에 시공사 선정이 중요하답니다. 병원이라는 특성을 고려해 안전하고 치료 공간으로서 필요한 장비나 시설을 설치하는 능력까지 보여드줘야하죠.
공간 배치도 환자와 의료진 모두가 편하게 시설을 이용할 수 있도록 고려해야 하며, 원하는 방향성 또한 충족시킬 수 있어야 합니다. 물론 이러한 전문성을 챙기면서 트렌드에 뒤처지지 않는 미적인 요소도 빼놓을 수 없는데요.
저희 916디자인은 다양한 업종을 소화할 수 있는 시공사인만큼 병원 역시 인테리어 시공경험이 다수입니다. 오늘 소개해 드릴 사례도 대전인테리어 도안동 정신의학과 병원 유행하는 디자인으로 공사를 마무리하여 보다 높은 만족도를 받았던 사례입니다.


먼저 대전인테리어 도안동 정신의학과 병원을 시공하기전 현장을 방문하여 실측을 진행한뒤 실측한 현장을 토대로 클라이언트와의 미팅을 진행하였습니다.
미팅을 진행하며 클라이언트의 니즈와 파악하고 요즘 유행하는 디자인 등의 사례를 전달드린 후 최종적으로 클라이언트께서 만족하실 수 있는 3D디자인을 제안드리는데요.
3D디자인은 입구공간부터 병원내외부의 세부적인 공간까지 제작하여 전달드렸습니다.






입구를 지나 내부로 들어오게되면 병원을 방문하는이로 하여금 가장 먼저 보여지고 오랜시간 대기하게 되는 로비와 리셉션 공간이 나타나는데요.
대기공간인 로비와 리셉션은 화이트톤의 곡선라인이 돋보이는 디자인을 적용하여 편안하면서도 세련된 느낌이 연출되는 공간으로 조성하였습니다.



로비 안쪽의 벽면에는 작은 식물을 배치할 수 있는 플랜테리어요소를 적용하여 프레쉬한 분위기도 연출되도록 공간을 계획해주었습니다.


병원의 전체적인 배치를 알 수 있는 3D ISO 도면입니다. ISO 도면을 통해 병원의 전체적인 구조와 공간활용도를 미리 파악할 수 있어 만족도 높은 공간활용을 할 수 있도록 3D ISO 도면까지 계획하여 전달드렸습니다.

병원 내부의 상담실, 처치실, 탕비실등의 필수적인 공간과 편의성을 위한 공간까지 병원의 전체적인 이미지와 다르지 않게 공간을 설계하여 전체적인 디테일까지 만족도 높은 공간이 될 수 있도록 고려하여 제안드렸습니다.



이렇게 꼼꼼한 3D디자인을 제안드려서 시공후의 모습을 시공전 미리 확인하실 수 있도록 하여 불만사항을 최소화 할 수 있도록하고 클라이언트께서도 더욱 편하게 믿고 맡기실 수 있도록 저희는 모든 시공현장에 3D디자인을 제안드리고 있습니다.
이렇게 3D디자인을 제안드렸고 계획된 모습에 의해 시공까지 마무리한 현장을 모습도 어떻게 변했을지 함께 확인해보도록 하겠습니다.




이번 사례는 기존 인테리어가 없었던 상가여서 철거 작업을 별도로 하지 않고 도면 확인과 분전함, 배관, 전선 등 최종 현장확인을 해주고 난 후에 바로 구조물 형성을 해주기 시작했습니다.







구성했던 공간들을 생각하며 구조물을 형성해 주었는데요.
이번 사례에서는 금속 작업보다는 목재 자재를 많이 사용하여 만들어 주었답니다. 이는 현장마다 다 다른 부분이 참고해 주시길 바랍니다. 외부 파사드도 빼놓지 않고 꼼꼼하게 기초 공사를 해주었죠.
기초 공사로 전기와 구조물 형성까지 완료가 되면 페인트와 스카시 단계라면 마감 공사는 색감을 입혀주는 단계라고 보시면 이해하기가 훨씬 수월하실 겁니다.







정신의학과라는 진료 과목을 고려해서 전체적으로 편안하고 안정된 분위기를 조성하기로 했기 때문에 식물도 적극적으로 활용해 주었는데요. 메인 로비에서 대기하는 환자분들을 위해 아트월 곳곳에 사용했습니다.
마감 공사가 끝이 나고 바닥 공사까지 해주면 대전인테리어 도안동 정신의학과 병원 유행하는 디자인으로 완료됩니다.
완공된 모습은 어떨지 함께 보시도록 하겠습니다.



외부 파사드는 정신의학과이기 때문에 깔끔한 스타일로 구성을 했는데요. 아트월 부분도 별도의 디자인을 하기 보다는 다운 라이트로 스포트라이트를 주어 포인트를 살렸고, 병원 관련 연혁은 간접 조명을 사용해서 내부 글자들이 잘 보일 수 있도록 했습니다.






내부로 들어서면 유행하는 디자인으로 완성한 대전인테리어 도안동 정신의학과 병원의 모습을 볼 수 있는데요.
전체적으로 깔끔한 화이트 톤을 유지하고 조명과 아트월, 베이지톤의 가구들을 통해 편안하고 안정적인 분위기를 조성했습니다. 천장은 우물형 스타일을 택해 공간에 있으면서 답답함을 느끼지 않도록 했죠.






특히 메인 로비에는 양 측에 아트월을 만들어 주었는데요.
환자분들이 어딜 앉아도 보실 수 있도록 했습니다. 대신 다른 스타일로 아트월을 꾸며주어서 다양성까지 챙겼죠. 식물을 많이 사용하여 자연적이 느낌으로 힐링을 느끼실 수 있도록 했는데요.
보다 건강한 정신을 위해 방문하신 환자분들을 고려한 인테리어라고 할 수 있겠습니다.




대신 상담을 진행하는 곳은 전문성을 보여주어야 하는 곳이기 때문에 보다 깔끔한 분위기를 조성했습니다.
대신 조명을 완전한 백색을 사용하지 않고 노란 빛이 조금 들어간 조명을 선택하여 따뜻한 느낌도 느껴볼 수 있도록 했죠. 또한 직접적인 빛이 노출되는 것보다 은은한 간접 조명을 전체적으로 많이 사용했습니다.


정신의학과는 약국에 별도로 처방전을 제출해 받지 않고 자체적으로 병원에서 제조를 해야 하기 때문에 약을 제조할 수 있는 공간도 만들어 주었는데요. 동선에 꼬이지 않도록 깔끔하게 공간을 구성하고 필요한 장비와 시설을 배치했죠.





이외의 공간들도 화이트 톤이 바탕으로 구성된 모습을 보실 수 있는데, 템바 보드 스타일로 하거나 도어 설치를 하지 않고 아치형으로 공간 구분을 주어 단조로울 수 있는 화이트의 단점을 보완해주었습니다.



의료진 분들이 편하게 쉴 수 있는 휴식 공간과 탕비 공간도 다른 곳과 마찬가지로 깔끔한 스타일로 하여 다른 곳과의 통일감을 주어 마무리했습니다.
대전인테리어 도안동 정신의학과 병원의 시공현장은 깔끔한 분위기와 전문성을 살리고 정신의학과라는 진료 과목을 고려해 식물을 사용하여 편안한 분위기를 조성해 주었는데요.
요즘 병원들도 너무 딱딱하고 분위기만 나는 인테리어보단 따뜻하고 편안한 분위기를 조성하는 인테리어가 트렌드라고 할 수 있겠습니다.
저희 916디자인은 병원까지도 인테리어 시공 할 수 있는 시공사로, 현재 병원인테리어를 고려하고 계신다면 문의 주시기 바랍니다. 다른 사례를 보시려면 아래를 참고해 주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