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916디자인입니다.
업종마다 추구하는 이미지가 다르죠. 아무래도 해당 이미지에 따라서 고객들이 생각하는 게 나누어지게 되기 때문에 추구하는 방향성에 따른 이미지 구축을 잘해야 된다는 것이 지배적이지 일텐데요. 특히나 변호사, 세무사 등 심어주는 이미지가 중요한 업종이라면 더욱 중요하죠. 그렇기 때문에 인테리어를 하는 과정에서 많은 고려를 하는 것 같아요.
요즘 트렌드에 뒤처지지 않으면서 추구하는 기업의 이미지와 고객들에게 심어주고 싶은 이미지까지 고려해야 하기 때문에 미팅 단계에서 디테일하게 의견을 주시곤 합니다. 이러한 의견들은 최대한 많이 주시면 좋은 게, 3D 디자인을 구축할 때 정말 많은 도움이 되거든요.
아무래도 고객 맞춤 디자인을 해야 하는데 원하시는 분위기나 이미지를 구체적으로 말씀해 주지 않으시면 적용하기가 힘듭니다. 저희는 늘 트렌드를 주시하고 있어서 기본적인 디자인을 잡을 수 있지만, 디테일하게 회사만의 아이덴티티를 녹인다던지 추구하는 분위기를 낼 수 있는 자재들을 활용한다던지 등 부분이 부족한 거죠.
그래서 보통 미팅하는 단꼐에서 많이 여쭤보곤 합니다. 오늘은 법률사무소 공사 사례를 소개해 드릴텐데 이번 클라이언트께서 미팅 단계에서 많은 대화를 나누셨는데요. 그래서 시공 후 모습을 굉장히 흡족해 하셨답니다.





많은 대화 후 원하시는 니즈를 잘 반영한 3D 디자인입니다. 기존 법률, 세무서 이미지를 탈피해서 트렌드하고 현대적인 느낌이 들되 전문성과 신뢰감을 심어줄 수 있는 분위기를 원하셨는데요. 기존 법률 사무소들은 우드 자재를 많이 사용했는데, 지금 시대와는 또 어울리지 않는 분위기이고 너무 고전적인 느낌이라 해당 이미지는 원하지 않는다고 하셨습니다.
그래서 화이트와 글라스 월 등을 활용해 감각적인 디자인을 선보였고, 최종적인 디자인이 결정되고 나서 본격적으로 시공에 들어갔죠.





기존 인테리어 철거를 하고 난 후 구조물을 형성을 해주고 있습니다. 강남 서초구 사무실인테리어 – 70평 법률사무소 공사 사례의 특이점이라고 하면, 기존에 이미 글라스 월 인테리어가 되어 있는 부분이 있다는 것인데요.
해당 부분들을 굳이 철거하는 것보다는 살려서 하는 방향으로 가기로 했습니다. 그래서 3D 디자인에서도 해당 부분을 적용해 만들었죠.





천장 전기 공사, 구조물, 배관 등 기초 공사가 끝이 나고 나면 페인트, 사인물 등의 마감 공사를 해줍니다. 이번 사례의 경우 목재 구조물 중 아치형 디자인도 있었는데, 곡선이 들어가는 구조물의 경우 숙련된 작업자만이 가능하다는 점을 참고하시면 될 것 같습니다.
그럼 완공한 강남 서초구 사무실인테리어 – 70평 법률사무소 공사 사례의 모습을 함께 보시겠습니다.





입구 파사드도 글라스 월로 되어 있는 걸 확인하실 수 있는데요. 블랙 프레임과 외부 벽의 상아색 대리석 타일이 더욱 고급스럽게 보입니다. 바닥 색상과 비슷한 톤으로 맞추어서 벽면의 사인물과 유리 도어가 눈에 확 들어오죠.
사인물에는 원형으로 단차를 주고 간접 조명을 설치해 사무소명이 눈에 더 잘 들어올 수 있도록 했고, 사인물 소재도 골드 메탈로 하여 고급스러움이 잘 느껴집니다.





내부로 들어서면 바로 리셉션이 보이는데, 외부 파사드와 비슷한 톤 때문에 통일감이 느껴집니다. 천장 조명은 다운 라이트를 택했고, 리셉션은 우드 자재를 살짝 사용해주어서 베이지한 분위기에 어우러지면서 따뜻한 느낌을 주고 있죠.










대기실 겸 휴식을 취할 수 있는 중앙 라운지 공간은 법률 사무소가 아닌 카페와 같은 분위기가 느껴지는데요. 마찬가지로 다운 라이트를 사용하여 가구들에 더욱 시선을 이끌어 가구들이 주는 분위기를 인상에 심어줄 수 있도록 했습니다.
전체적으로 베이지 톤이라서 글라스 월과 가구들의 색감이 트렌디한 느낌을 잘 느낄 수 있고, 연혁 같은 사인물도 눈에 더 잘 들어옵니다.





대회의실도 깔끔한 분위기인데요. 글라스 월과 와이드 창문이 어우러져 개방감을 극대화한 곳입니다. 아무래도 의뢰 관련 이야기를 나누거나 법리적인 문제들을 다루어야 하다 보니 답답함을 느끼는 부분이 없는 것이 원하시는 변호사사님들이나 방문하시는 의뢰인들도 편안한 공간이 될 수 있기 때문에 해당 부분들을 고려한 디자인했습니다.





그래서 이렇게 전체적으로 공간 구분을 한 곳들은 글라스 월을 적극적으로 사용한 것이죠. 천장 조명을 다운 라이트로 해 유리와 궁합이 좋도록 했습니다. 대신 너무 다운 라이트로만 하기엔 밋밋할 수 있어 휴식 공간 부분에는 펜던트 조명이나 스탠드 조명도 활용해서 재미를 더했죠.





소회의실의 경우 다운 라이트 뿐 아니라 이렇게 펜던트 조명을 했는데요, 공간마다 똑 같은 디자인을 적용하기 보다는 비슷하게 가되 부분적인 디테일을 다르게 해줌으로써, 공간 구분감을 주는 것입니다. 그래서 보시면 전체적으로 베이지톤의 벽, 바닥 테이블, 의자들이지만 조명을 달리 사용하거나 의자 색상에 포인트를 준 것이죠.
저희 916디자인은 언제나 고객 만족도를 높일 수 있는 결과물로 보답하기 위하여 노력하고 있습니다. 다양한 시공 사례는 아래의 포트폴리오를 참고하여 주시면 되고, 문의 사항들은 친절히 응해드리고 있으니 부담 없이 연락해 주시기 바라겠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