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916 디자인입니다.
여러 공간을 다녀본 분들은 공간마다 구조적 특징이 다른다는 사실을 이미 눈치채셨을 것 같습니다.
건물 형태에 따라서 단순한 정사각형 형태가 아닌 직사각형이나 다각형 드으로 나타나고 기둥의 유치 역시 각각 다를 수 있는데요.
인테리어 작업 전에 공간의 구조적 특성을 충분히 이해하는 것은 무척 중요합니다. 구조를 어떻게 활용해야 각각의 장소를 더 효율적으로 쓸 수 있는지 충분한 고민이 이루어져야 하기 때문인데요.
이러한 고민을 바탕으로 시공을 마친 고양 덕양구 사무실인테리어 60평 공간을 소개합니다.


우선 3D 아이소로 계획한 고양 덕양구 60평 사무실인테리어 공간입니다.
직사각형이면서 기둥이 모두 사이드에 위치한 공간이기 때문에 작업 시 용이한 면이 있었는데요.
출입구 위치를 고려하면 가로로 길게 빠진 모호한 형태였기 때문에 이러한 부분을 잘 커버하는 것이 중요했습니다.



고양 덕양구 사무실인테리어 60평 공간의 시공 전에 아이소와 내부를 구체적으로 살펴볼 수 있는 3D 이미지를 먼저 제작했습니다.
아이소에서도 볼 수 있는 디자인이지만, 이렇게 내부 곳곳을 상세하게 실제처럼 만드는 3D 이미지로 보는 것과는 느낌에서 큰 차이가 있죠.
3D 이미지에 반영된 디자인은 모두 클라이언트의 니즈와 공간적 특성이 담겨 있습니다.



철거할 요소가 따로 없어서 내부를 깔끔하게 정리하고 기초 설비를 처리한 다음 바로 금속작업, 목공작업을 시작했습니다.
공간 활용도에 따라 사용하는 자재가 다른데 무거운 글라스를 받쳐주어야 하는 곳에는 경량철골로 금속작업을 먼저 진행하고 추후 목공작업으로 덧댔습니다.


천장과 내부 룸의 디테일도 목공작업이 필요하기 때문에 디자인한 그대로 규격과 위치에 맞춰서 작업했습니다.




구조가 다 완성되면 채색 작업과 조명 설치를 종합해서 진행하는데요.
디테일한 요소에 맞춰서 색상과 결에 따라 깔끔하게 작업합니다.
바닥 작업은 가장 마지막에 진행합니다. 데코 타일과 일반 타일을 혼합하면서 작업하는 현장이었는데요.
들뜸, 어긋남 없이 깔끔히 완성되도록 꼼꼼하게 작업했습니다.





가로형 구조이기 때문에 내부가 탁 트여서 보일 수 밖에 없다는 단점을 보완하기 위해 따로 구조물을 만들어 아트월을 설치했습니다.
플랜테리어와 스톤 소재, 우드 소재를 더해서 입구에서부터 고급스러움이 느껴지도록 했죠.
바닥재도 다른 곳보다 어두운 컬러의 타일로 작업하여 차이점을 명확하게 두었습니다.






휴게공간을 디자인적인 요소를 적용하여 좀더 안락한 공간으로 구성 하였습니다.




플랜테리어 스타일을 적용하여 화사한 느낌의 연출을 더하였습니다.








대회의실 외부





바로 내부로 들어가면 휴식 공간이 가장 먼저 보이도록 했습니다.
라운드 형태의 틀과 소파를 결합하여 더 편안하고 아늑한 분위기를 만들었고 소파와 결합한 틀에 모자이크 유리를 장식해서 뒤쪽 공간에 대한 프라이빗함을 확보했습니다.



휴식공간에서 돌아 반대편에는 데스크가 놓인 업무공간이 위치하도록 했습니다.
통로는 두 컬러의 타일을 혼합하여 끝까지 이어지도록 하고 업무 공간이 창고 쪽으로는 화이트 컬러의 타일만 배치하여 가난하게 공간을 구분하고 차분함을 줬습니다.


더 안쪽으로 들어가는 공간은 가벽과 글라스를 이용해서 새롭게 구분했습니다.
전체적으로 깔끔한 느낌이 유지되도록 화이트 컬러를 적용하고 글라스에는 비슷한 색감의 안개 시트지를 중단부에 부착해 고급스러움과 프라이빗함을 모두 살렸습니다.



CEO룸으로 사용될 공간입니다.
베이지 컬러와 화이트 컬러로 깔끔하게 조합해서 진중한 느낌을 줄 수 있도록 하고 천장에 특히 포인트를 만들었습니다.
목공작업으로 만든 틀에 고급스럽게 조명을 설치하여 완성한 천장인데요.
틀을 두 겹으로 만들어 각각의 조명 라인이 구분되면서 더 고급스럽게 보이죠.



미팅룸으로 사용될 공간은 럭셔리한 디자인의 데코타일로 차별된 분위기를 만들었습니다.
천장에는 CEO룸과 같은 디테일로 포인틀르 주고 한쪽 벽면에 화이트보드를 설치했는데요.
큼직한 화이트보드를 설치하고 주의 벽면이 모서리를 감싸는 형태로 작업하여 더 깔끔하게 마무리했습니다.



작은 휴게실에서 더 안쪽으로 숨겨진 마지막 공간은 깔끔한 탕비실이 있습니다.
외부와 다르게 아늑한 전구색 조명을 주로 활용하고 간접등을 이용해서 감성적인 분위기를 만들었습니다.
아이보리에 가까운 컬러로 싱크대와 수납장을 통일하여 작업했고 화이트에 가까운 컬러의 타일로 주변 벽면을
둘러서 감각적으로 표현했습니다.
전체를 둘러보면 아시겠지만,
고양 덕양구 사무실인테리어 60평에 필요한 여러 공간이 각각 목적에 따라 다른 분위기를 가질 수 있도록 디자인하고 완성했습니다.
공간 구조의 단점을 자연스럽게 커버하는 건 물론이고 심미적으로 우수하게 표현할 수 있는 저희 916 디자인과 함께 한다면 어떤 장소라도 고급스럽게 바꿀 수 있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