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916디자인입니다.
병원과 같은 특수 업종의 경우 목적에 맞게 공간을 살리는 것이 중요합니다. 병원의 이미지부터 환자들이 편하게 시설을 이용할 수 있도록 고려해야 하기에 병원 인테리어를 알아보실 때는 업체 경험 여부 체크가 필수인 것이죠. 옛날과 달리 모던한 분위기의 병원도 많이 생겨나고 있고, 진료 과목에 따른 분위기도 나누어지기 때문에 해당 부분들을 잘 고려해 공간을 구성해야 합니다. 물론 이런 것도들도 병원만의 핵심 포인트를 기반으로 만들어야 하는 것이 기본이 되어야 하고, 들인 비용만큼의 퀄리티는 나와야 하죠.
저희 916디자인은 이러한 포인트를 잘 살려 디자인 제안을 하고 있는데요. 병원 인테리어 경험도 다수이기에 원장님들의 니즈를 결과물로 충족시켜 드리고 있습니다. 이번에 진행한 사례 역시 이러한 부분을 생각해 저희에게 맡겨 주셨었는데요. 결과물을 보시곤 높은 만족감을 드러내셔서 보람찼던 사례이기에 병원인테리어업체 디자인 제안부터 전문적인 시공과정까지 소개합니다.







평범한 도면에 3D 디자인을 하여 입체감을 살린 후 디자인 제안을 해드렸는데요.
환자의 마음을 다루는 정신의학과라서 차분하면서도 진정할 수 있는 분위기를 중점으로 디자인을 진행했죠. 원하셨던 부분도 환자들이 대기하는 시간에도 편하게 있으실 수 있는 공간이었으면 좋겠다고 하셨기 때문에 해당 부분들을 잘 살릴 수 있는 자재들로 시공할 계획을 세웠습니다.
최종적으로 디자인이 결정되고 난 후엔 병원인테리어업체 디자인 제안부터 전문적인 시공과정에 들어갑니다.





필요 자재들을 들이기 전, 공간을 분리할 부분들을 체크해 주고 배관, 분조함 등 시공 작업을 진행했습니다. 이후 구조물을 형성해 줄 자재들을 들여줍니다.






미리 디자인을 계획한 대로 구조물을 형성해 주기 시작합니다.
금속을 이용하여 뼈대를 세워주는 현장도 있지만 이번 병원인테리어업체 디자인 제안부터 전문적인 시공과정 사례의 경우 대부분 목재를 사용하여 구조물 형성을 해주었습니다. 이는 현장마다, 사용하는 자재마다 상이하니 참고 바라겠습니다. 구조물 형성 후 페인트, 사인물 등 마감공사에 들어갑니다.






마감 공사 단계가 공간에 색을 입혀주는 역할이라고 보시면 되는데요. 3D 디자인에서 봤던 모습을 점차 찾아가고 있는 모습을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바닥 공사까지 마무리를 하면 병원인테리어업체 디자인 제안부터 전문적인 시공과정까지 모두 소개해드렸는데요. 그럼 완공된 모습은 어떨지 함께 보시도록 하겠습니다.



외부 파사드부터 신뢰를 느끼기에 충분한데요. 벽면에는 단차를 두고 간접 조명을 설치해 병원과 원장님들의 연혁이 좀 더 빛이 날 수 있도록 했습니다. 입구 옆에는 아트월 공간을 만들어 안정감을 느낄 수 있도록 했고, 유리 도어 위에는 입체감을 살린 사인물을 시공했답니다.



리셉션 공간은 화이트의 깔끔함을 느낄 수 있습니다. 대신 너무 화이트이기만 하면 심심할 수 있기에 하단에는 템바 보드 스타일을 적용하고, 간접 조명과 벽부등, 다운 라이트를 사용하여 따스한 분위기도 함께 느낄 수 있는 공간으로 탄생했습니다.











병원인테리어업체 디자인 제안부터 전문적인 시공과정 사례는 전반적으로 화이트톤을 바탕으로 디자인을 구성했지만, 편안함을 느낄 수 있는 공간이었으면 하는 니즈가 있었기에 화이트와 베이지 조합을 공간 곳곳에서 만나볼 수 있는데요.
특히나 대기 공간은 베이지 톤 소파와 자연적인 분위기의 바닥 타일 시공을 통해 차분하면서도 안정감을 느낄 수 있죠.




대기 공간 양 옆은 아트월을 만들어 갤러리에 와있는 듯한 기분을 느껴볼 수 있는데요.
실제 식물은 물론, 액자 역시도 자연적인 디자인의 액자를 사용해 주었고 이를 간접 조명들이 한층 더 깊이감을 주고 있습니다.








내부 곳곳에는 간접 조명, 벽부등을 사용하여 화이트와 베이지 색감을 따듯한 분위기로 느낄 수 있도록 했습니다. 직접적으로 환자들이 상담하는 공간에도 조명을 많이 활용한 것을 확인하실 수 있는데요. 병원인테리어업체 디자인 제안부터 전문적인 시공과정 사례의 특이한 공간이라고 하면, 약을 제조하는 곳을 꼽을 수 있죠.
타과목인 시공과정 사례의 특이한 공간이라고 하면, 약을 제조하는 곳을 꼽을 수 있죠. 타 과목의 경우 약국에서 처방약을 받아야 하지만 정신의학과는 자체적으로 약을 제조한 것을 받아야 하기에 제조실은 필수입니다.
이는 병원 진료 과목에 따라 특수 공간이기에 시공을 할 때 공간을 별도로 만들어 주어야 하죠. 이처럼 시공사들이 해당 업종에 맞는 공간들을 먼저 제의할 줄도 알아야 합니다.







상담실 이외의 공간들도 대부분 조명을 적극적으로 활용한 것을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고객 휴게 공간의 경우 테이블 위에 펜던트 조명도 설치해 카페와 비슷한 분위기를 느껴볼 수 있으며, 직원 휴게 공간은 리클라이너를 두어 편히 쉴 수 있도록 했죠. 화장실도 내부 공간들과 마찬가지로 깔끔함을 느낄 수 있도록 전체 타일 시공을 했습니다.
저희 916디자인은 업종과 공간의 목적에 맞는 결과물로 보답하고 있는 시공사입니다. 보다 공간을 효율적으로 배치하고 있고 회사 이미지를 잘 살릴 수 있는 디자인으로 제안하고 있습니다 .아래의 포트폴리오를 통해 다른 사례들도 만나 보실 수 있으니 참고 바랍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