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916디자인입니다.
마냥 이쁘게 꾸미는 것만이 인테리어가 아니빈다. 공간을 잘 활용하여 목적에 맞게 구분하는 것이 중요하죠. 구분된 공간을 효율적으로 이용할 동선도 고려해 레이아웃 배치를 해야 성공적인 인테리어라고 할 수 있는데요. 물론, 미적인 요소를 완전 배제하는 것은 아닙니다. 어떤 공간인지, 클라이언트의 취향에 따라 미적인 요소를 채워야 하죠. ” 인테리어는 ㅇㅇ다. ” 라고 단정 지을 수 없고, 여러 복합적인 점들을 고려하여야 합니다. 시공사들의 차이점은 여기서 온다고 할 수 있는데요. 다른 사례 소개 글에서 지속적으로 말씀드리고 있지만, 경험이 많은 시공사를 권하는 이유가 여기에도 있답니다.
사례마다 다양한 경험을 쌓은 시공사는 확실히 여러 가지 점들을 고려할 때 다양한 시각에서 클라이언트의 편의와 실용성을 위해 생각하는 포인트들이 더욱 많기 때문입니다. 저희 916 디자인은 이런 점에서 맣은 어필이 되고 있는데요. 아무래도 다양한 케이스의 시공 경험이 많다 보니 경험을 통해 쌓은 노하우로 인테리어 시공을 하고 있기에 클라이언트가 원하는 결과물로 높은 만족감을 안겨 드리고 있기 때문이 아닐까 싶습니다.
소형사무실인테리어 소규모공간도 깔끔하게 한 사례도 저희 후기를 보시고 의뢰를 맡겨주셨고, 결과물을 흡족해 하셨는데요.




사전 미팅을 마치고 바로 실측에 나섰습니다. 실측을 정확히 해야 도면을 만들 수 있고, 현장 상태에 따라 시공할 수 있는 방법들이 달라지기 때문에 꼼꼼히 확인해야 하죠. 기존 인테리어가 없기에 철거 작업이 필요하지 않아 보였고, 공간을 목적에 맞게 구분하기 위한 레이아웃이 필요했습니다. 실측 후 2D 도면과 3D 디자인을 통해 클라이언트께 제안해 드렸답니다.






깔끔한 디자인을 선호하셨기 때문에 전체적으로 화이트 톤을 바탕으로 깔고 모노톤을 사용해 주었는데요. 그리고 소형 평수인 점을 감안하여 공간을 구분할 때 글라스 월을 사용한다는 걸 제안해 드렸습니다. 그렇게 되면 공간은 구분이 가되 유리로 인한 개방감을 높아져 답답함이 감소되고 조명과 어울리는 글라스 월이 단조로울 수 있는 모노톤 디자인에 활력을 불어줄 수 있기 때문이죠. 하지만, 너무 차가워 보일 수 다는 점을 고려해 가구나 포인트 부분을 우드 자재로 사용하기로 수정하여 시공에 착수했습니다.






가장 먼저 구조물 형성부터 해주는데요. 아무것도 없던 사무실 내에 구조물을 형성하여 공간을 구분해 주는 것이랍니다. 경량 골조와 목자재로 뼈대를 세우고 중간에 충전재를 채워 목판으로 면을 만들어 줍니다. 또한 파티션으로 구분하는 곳도 현장에 맞게 재단 후 시공하고 있죠. 저희 916 디자인은 대부분의 구조물들을 직접 형성하고 있습니다.





구조물 형성이 완료가 되면 도장과 마감 공상 들어가줍니다. 벽면에는 프레임 시공도 하기로 했기에 프레임을 제외한 모든 곳에 도장 공사를 해주는데요. 도장 작업이 완료가 되어야 프레임이나 글라스 월 시공도 할 수 있답니다. 도장 작업 후엔 스카시, 글라스 월, 사인물 등의 마감 공사로 바로 이어지죠.




대부분의 구조물들은 직접 제작하여 시공하지만 싱크대의 경우 시판 제품을 가져다 설치를 합니다. 시판 제품이기 때문에 도장 작업을 마친 후에 작업하는 것이 제품에 손상을 입히지 않죠.



글라스 월 시공까지 해주면 소형사무실인테리어 소규모공간도 깔끔하게 한 사례의 모든 시공이 마무리가 되는데요. 천장 조명은 그대로 사용하기로 했기에 별도의 시공 작업이 필요하지 않아 다른 사례보다 조금 더 일찍 마무리가 되었습니다. 그럼 완성된 모습도 이어서 보시겠습니다.




입구 아트월부터 깔끔하고 따뜻한 분위기를 느껴볼 수 있는데요. 스포트라이트를 잘 받을 수 있는 위치에 회사 사인물을 설치해주고, 회사 사인물에도 간접 조명을 달아 더욱 눈에 띄게 했습니다. 또한, 하단에는 자갈을 깔아주어서 우드 자재들과 잘 어울리도록 했죠. 아트월 맞은편에는 테이블과 보드를 두어 회사 관련 공지들을 직원들이 잘 볼 수 있고요. 내부의 아트월의 경우 별도의 조명 없이 깔끔한 화이트 벽면에 컬러감이 돋보이는 사인물 설치만 해주었습니다.



입구 아트월 옆에는 카페테리아와 소회의실이 바로 붙어있는데요. 두 곳 모두 우드 자재를 사용했지만 크림색과 오크색을 사용하여 공간 구분감을 주었습니다. 또한 소회의실의 경우 카페테리아 바테이블 외에 직원들이 앉아서 수리수 있는 공간으로도 사용할 수 있게 오픈 파티션 형태로 만들었죠.



업무 공간은 책상 파티션만 두어 보다 공간 활용도를 높였습니다. 소통을 중시하는 기업 문화도 엿볼 수 있죠. 회의실은 글라스 월로 벽면을 세워서 내부에 있어도 답답함이 느껴지지 않습니다. 대신 회의에 집중할 수 있게 불투명 시트지 작업을 하여 외부와의 시선 차단을 해주었답니다. 또한 디스플레이 맞은편 벽면에는 글라스 보드를 시공하여 회의를 보다 효율적으로 진행할 수 있어 클라이언트께서 높은 만족감을 드러내셨죠.
저희 916 디자인은 다양한 경험을 쌓은 시공사로써 그 노하우를 클라이언트의 결과물에 녹여낼 수 있도록 노력하고 있습니다. 이번 현장 외에 다른 인테리어 시공 포트폴리오가 궁금하시다면 아래를 참고해 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