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916 디자인입니다.
음식점은 다른 업종보다도 깔끔함이 생명이지만, 깔끔함만 추구할 수는 없습니다.
판매하는 음식에 따라서 음식점의 분위기를 다르게 하면서 방문객의 니즈를 채워주는 인테리어도 필요하기 때문입니다.
예를 들어서 술집이라고 더 아늑하고 어두운 인테리어를 선호하는 경향이 있고 일식집이라면 우드 소재를 활용해서 깔끔하고 단정하게 완성한 인테리어를 선호하는 경향이 있어 큰 틀만 아니라 판매하는 음식도 꼼꼼히 고려하면서 디자인 해야 합니다.
이번에 916 디자인에서 작업한 일식집인테리어가 일식집 특유의 느낌을 담으면서도 클라이언트만의 개성과 감각을 어떻게 살려냈는지 사진으로 알려드리겠습니다.


먼저 외부를 구현한 3D 디자인입니다.
유리 파티션과 웨인스코팅이 적용된 우드 소재를 적절하게 혼합하여 고급스러운 외관을 완성했죠. 목공 구조를 이용해서 손님이 대기할 수 있는 공간도 조성했고, 자갈과 같은 기타 장식으로 꾸며줄 계획도 모두 수립했습니다.



내부를 전반적으로 우드 소재가 두드러지도록 디자인하고 바닥은 다크 그레이톤의 타일로 제안하여 청결도를 높였습니다.
리셉션이나 주방 입구를 구분하는 구조물, 파티션 모두 자체적으로 제작할 계획입니다.


화장실은 우드 계열과 가장 잘 어울리는 그린 컬러로 공간을 조성하기로 했습니다.
부분적으로 펜던트 조명이나 벽등을 이용하여 감각적인 포인트를 주는 것으로 제안했죠.




완성한 공간을 소개하겠습니다.
건물 구조상 외부에서 잘 보이는 위치에 돌출간판을 각 모서리에 설치해주고, 화이트 컬러의 벽면에는 골드 티타늄 스카시를 부착한 부식간판을 부착해주었습니다.



입구가 있는 양 끝 모서리와 대기하면서 기다릴 수 있는 벤치 구조물, 입구부터 이어지는 정면의 모서리를 우드 소재로 마무리 했습니다.
나뭇결이 그대로 살아나도록 하고, 짙은 색감을 사용해서 고급스럽게 표현했는데요. 포토존 겸 대기 공간으로 쓰일 위치에 매입등을 따로 설치해서 부각해주었습니다.
상단은 심볼 로고를 각인한 장식을 만들어서 브랜딩 효과도 넣었습니다



내부는 전체적으로 우드 소재를 적용했기 때문에 문 역시 우드 소재로 마감했습니다.
우선 계산대 겸 직원 상주 공간으로 사용할 장소를 소개하겠습니다.
가벽체보다는 파티션과 아일랜드 식탁을 이용해서 공간을 구분되게 하여 전체적으로 무겁게 느껴지지 않도록 했습니다.
화이트 컬러의 타일을 조합해서 감각을 더했고 상단의 포인트 조명과 내부 간접등이 은은한 고급스러움을 살려주도록 했습니다.



벽면은 아이보리 톤으로 조합해서 화이트 컬러의 테이블과 차이를 두었고 테이블을 구분하는 파티션은 벽면과 연결된 느낌으로 완성하기 위해 우드 소재와 타일을 똑같이 적용했습니다.



벽면 디자인을 자세히 살펴보면 먼저 우드 소재로 전체의 배경과 테두리를 만들고 남은 상단의 공간을 아이보리 컬러 페인트로 채색, 하단은 화이트 컬러 타일로 마감한 형태입니다.
세 가지 소재가 쓰였지만, 전체적으로 안정감을 줄 수 있도록 섬세하게 작업했습니다.

세 가지 소재를 혼합하는 것은 같지만, 일체형 소파를 제작하면서 다른 방식으로 포인트를 준 좌석도 있습니다.
다만, 하단의 타일을 소파 등받이로 활용하기에는 적절하지 않았는데요. 아이보리 컬러의 쿠션으로 등받이와 좌석을 장식해서 일체형 소파와 벽면의 연결점을 주면서 실용성도 살려주었습니다.


주방 가까이의 좌석으로 따로 마련된 공간도 함께 살펴보겠습니다.
문이 따로 없는 오픈형 구조이지만 구조물의 두께를 조정해서 두 공간 사이에 충분한 거리감을 주었습니다.



안 쪽은 바 형식으로 1인이 앉아서 먹을 수 있는 좌석들이 마련되어 있습니다.
규격에 맞는 바 테이블이 필요했기에 이 부분도 목공 작업으로 모두 도와드렸고, 벽면은 여태까지와 같은 디자인이지만 색상만 다르게 하여 차이를 두었습니다.
또한 그린 컬러로 벽을 채색해서 포인트를 주기도 하였습니다.



제작한 테이블을 자세히 보여드리겠습니다.
트렌디하게 타일을 이용해서 테이블 상단을 채워주었고, 클라이언트 요청에 맞게 적절한 위치에 콘센트도 만들어주었습니다.
또 테이블을 적당히 강조하기 위해서 판 조명 디자인의 펜던트 조명을 설치했습니다.

주방을 가리는 구조물을 전체적으로 우드 소재로 처리해서 더 깔끔하고 단정한 느낌이 들도록 작업했습니다. 주방 가까이에는 따로 좌석없이 상, 하부장을 배치해서 수납 공간을 확보했고 음식이 나오는 장소도 클라이언트가 요청한 규격에 맞게 완성해드렸습니다.
–
일식집인테리어도 공간 구조와 클라이언트 니즈에 따라서 각각의 느낌을 살려줄 수 있는데요.
감각적이면서도 개성있는 공간을 원한다면 916 디자인에 문의주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