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916디자인입니다.

인테리어를 진행할 때에는 다양한 자재들을 사용합니다. 주로 사용하는 것으로, 목재나 금속, 유리 등이 있는데요. 각 자재마다 느낄 수 있는 느낌이나 장단점이 다르기 때문에 클라이언트의 니즈, 현장에 맞게 사용해야 합니다.

예를 들어서 따듯한 느낌을 원하시는 클라이언트라면 우드 자재들을 많이 사용하여 인테리어를 시도해 볼 수 있겠죠. 반대로 시크한 분위기를 원하신다면? 금속 관련 자재들을 많이 사용하면 전체적으로 톤이 차가워지기 때문에 많이 사용할 수 있습니다. 이렇듯 자재의 특성과 원하는 스타일을 얼마나 궁합을 잘 맞추는 지에 따라 만족스러운 결과 여부가 나누어지는 것 입니다.

저희 916디자인은 자재들을 최대한으로 활용하여 원하시는 니즈에 맞추는 인테리어로 보답하고 있는데요. 이번 대전 관평동 비즈타워에서 시공한 사무실인테리어 현장역시 공간 분리가 많이 필요한데, 소형 평수여서 답답함이 느껴지지 않았으면 좋겠고 깔끔한 느낌을 원하셔서 유리 가벽을 많이 활용한 사례입니다.
유리라는 자재의 특성이 시야를 트여주기 때문에 작은 평수에서 공간 분리가 필요할 때 많이 고려하는 자재 중 하나죠. 이번 사례를 통해서 설명을 해드리도록 하겠습니다.




전체적인 도면과 그 바탕으로 한 3D 디자인을 살펴보시면, 공간 분리를 많이 한 것을 보실 수 있는데요. 회의실, 업무 공간, 대표실, 이사실, 탕비실로 구성된 내부는 10명 이상이 근무할 수 있는 평수지만 해당 공간들을 전부 배치를 하다 보니 자재를 사용해 공간을 좁아 보이지 않도록 하는 것이 관건이었습니다.
물론 외부 파사드 포함, 미적인 요소도 빼놓지 않았죠. 깔끔하면서도 인위적이짐 않는 분위기를 원하셨기에 우드, 화이트 등을 사용하기로 제안해 드렸답니다.






내부 또한 그러한 분위기에 맞추어 화이트와 식물들로 이뤄진 인테리어에 포인트 컬러들을 곳곳에 넣어 디자인했습니다. 그리고 여기서 이번 대전사무실인테리어를 예쁜 디자인으로 나타낼수 있었던 유리가벽도 배치한 것을 볼 수 있는데요.
최종적인 디자인이 결정되고 나면, 본격적인 시공에 들어갑니다.





구조물 형성을 해주고, 마감공사까지 한 후에 바닥 공사를 남겨둔 모습입니다. 유리 가벽을 모든 공간마다 한 것은 아니라 한 쪽면만 시공을 했습니다. 그 이유는 이번 현장공간의 특성을 파악하면서 확인한 결과 모든 공간마다 유리 가벽을 해두면 내부 분위기가 너무 차갑게 느껴지고, 오히려 너무 휑한 느낌을 받을 수 있기 때문이죠.
그럼 완공된 모습은 어떨지, 함께 보시도록 하겠습니다.



외부 파사드는 우드 자재를 전체적으로 사용해 주었는데, 템바 보드 스타일로 하여 단조로운 분위기에서 벗어나도록 했습니다. 또한 입구를 중심으로 사선 스타일의 간접 조명을 설치해 더욱 분위기에 깊이감을 주었습니다.








내부로 들어서면 입구 아트월이 눈에 띄는데, 텍스쳐 질감이 살아있는 벽면에 깔끔한 실버 메탈 스타일의 사인물을 부착해 마무리했습니다.

반대편 탕비실에서 바라본 회의실의 모습입니다. 만약 여기도 유리 가벽으로 했다면, 오히려 너무 휑한 모습에 공간 구분을 어디서부터 준 것인지 인식하기가 어려울 수 있었지만 도어가 따로 없는 오픈 스타일로 디자인해 개방감은 높이고 단점은 최소화했죠.




그 왼쪽 편에는 회의실 공간이 있는데요. 대전사무실인테리어 관평동 비즈타워 지식산업센터 현장은 입구를 기준으로 들어서면 왼쪽의 모든 분리 공간을 유리 가벽을 설치하여 효율적인 사무실레이아웃을 완성하였습니다.


내부는 밖에서 잘 보이는 곳인 만큼 깔끔한 디자인을 자랑하는데요. 화이트 톤의 공간에 벽면 사인물과 의자 컬러감으로 포인트를 준 모습입니다.

그래서 좁은 통로라도 답답한 느낌이 전혀 들지 않죠.
그래서 업무 공간도 마찬가지로 유리 가벽으로 공간 구분을 지어준 스타일과 반대편에는 오픈 스타일로 공간 구성을 해준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그래서 분리된 공간에서 밖을 바라보아도 답답함이 없고, 외부에서 내부를 바라보아도 좁게 느껴지는 것이 최소화가 되었죠. 유리라는 자재를 사용한 것만큼 조명 역시 중요했는데,

물론 업무에 따라 외부 시선 차단이 필요한 경우도 있기 때문에, 블라인드도 설치했습니다. 천장의 라인 조명이 더욱 눈에 띄게 되면서 조금 다른 분위기의 공간으로 느껴진답니다.

이러한 점들은 저희가 디자인, 효율성 등을 고려하여 공간디자인을 제안드리고 있습니다. 만족하실수 있는 결과물이 될 수 있도록 늘 최선을 다하는 916디자인이며, 다양한 시공 경험이 있으니 아래의 포트폴리오를 참고해 주시기 바랍니다.

유리라는 소재란 독립 공간 내부가 잘 보이고 오픈 스타일의 인테리어 디자인에서 많이 쓰이기에 전체적으로 벽면이나 바닥은 화이트 베이지 등으로 가고 소품을 활용해 포인트 컬러를 넣어 내부 분위기를 주도하고 있다는 것이죠.

























